마지막 키워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'다시 시작된 '영끌'?…치솟는 수도권 집값' <br /> <br />한동안 꺾였던 집값이 다시 치솟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강남 집값이 들썩이기 시작한 건 올해 봄부터였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수도권 전체로 상승세가 퍼져가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 발표된 서울은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이 무려 0.28%, 인천과 경기는 각각 0.07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서울 아파트값은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최근 6주 연속 상승폭 자체도 커졌는데요 이번 주 상승폭 0.28%는 5년 10개월 만에 최대 폭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매주 상승 폭을 더 늘려가며, 잦아들지 않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직접 그래프로 보시면요. <br /> <br />5월까지 0.05% 이하에서 조금씩 오르던 서울 아파트값이 6월 초부터는 급격히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 들어선 0.2%대를 넘어섰고, 이번 주 0.3%대를 문턱까지 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안에서도 지역 별로 보면요. <br /> <br />송파, 서초, 강남 순으로 강남 지역 집값은 크게 요동쳤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마·용·성으로 불리는 지역에 광진구까지 한강과 맞닿은 강북 지역 역시 0.3% 넘는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집값이 다시 꿈틀대는 건데, 이른바 영끌도 다시 시작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가뜩이나 많았던 우리 가계대출 역시 다시 늘어나고 있죠. <br /> <br />특히 주택 매입을 위한 담보 대출 역시 확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올해 들어 매달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이번 달 역시 지난 17일까지만 해도 3조5,597억 원이 불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권은 주택 담보, 전세 담보 대출 금리 추가 인상에 나섰죠. <br /> <br />그러니까 높은 금리 부담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담보 대출은 받는 사람들은 줄을 잇고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정부도 일단 대책을 내놨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기존에 발표했던 3기 신도시 주택 공급량을 구체화해서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29년까지 약 23만6천 호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또, 하반기에는 그린벨트 해제 등으로 수도권 신규택지 2만 호를 추가하고, 전세 대책으로 공공 매입임대주택도 13만 호를 내년까지 추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낮추는 조치 역시 9월에 예정대로 시행합니다. <br /> <br />주택 공급량을 구체화하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1917224095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